국민 건강보험 공단 병원 진료 내역 조회 방법 및 기간, 진료 내역 확인 가능 및 불가 항목을 종합적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민감한 과거 병원 진료 내역 확인 절차를 포함해 본인인증 절차 필요합니다.
병원 진료 내역 조회 방법 – 5단계로 끝내기
국민 건강보험 공단 병원 진료 내역 조회 기간
병원 및 의원, 약국 진료 받은 최근 12개월 분 내역까지 조회할 수 있습니다.
최근 2개월 정보는 진료비 청구, 심사 등 자료 구축 기간 필요해, 병원 진료 내역 조회 기간은 최근 2개월 제외한 14개월 전 진료 분부터 1년간 과거 진료내역 확인 가능합니다. 단 10년 전 진료기록 조회 처럼 장기 내역 조회는 불가능 합니다.
만 14세 미성년 자녀 대리인 병원 진료 내역 조회는 국민 건강보험 공단을 통해 가능합니다.
진료 내역 확인 가능 및 불가 항목
민감한 개인정보 포함된 비뇨기과, 정신과, 산부인과 진료 내역 등 일부 민감 정보 조회 불가능 하지만, 일반 타 병원 진료 기록 조회는 가능합니다.
조회 항목은 병원 및 의원, 약국 명칭(이름), 진료 개시일(진료 일자), 진료과목, 방문, 처방, 투약 일수, 본인 부담금, 공단 부담금 등 상세 내역 확인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진료 내역 조회 방법
- 정부24 지원금 조회 사이트 접속
- 진료받은 내역 검색
- 본인인증 (휴대폰 본인인증 포함)
- 기본정보 확인 및 수정
- 진료 내역 확인
민감 정보 포함해 여러번 본인인증 절차 요구될 수 있으며, 통상 사이트 접속부터 내역 확인까지 5분 이내 가능합니다.
(바로가기)
1.정부24 지원금 조회 사이트 접속
정부 통합조회 시스템 정부24 지원금 신청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모든 조회 과정은 1~2회 본인인증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진료받은 내역 검색
검색창에 정확한 띄어쓰기로 작성된 ‘진료받은 내역’ 입력 후 조회합니다. 띄어쓰기 틀릴 경우 조회 안됩니다.
3. 본인인증 (휴대폰 본인인증 포함)
이름 및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1차 인증 후 2차 휴대폰 본인인증 진행합니다. 민감한 정보 포함돼 본인인증 절차 까다롭습니다.
4. 기본정보 확인 및 수정
수신자 항목에서 본인인지 확인합니다. 진료개시일은 진료 일자 입니다. 최근 2개월은 조사 과정이라 조회할 수 없으며, 진료 내역 확인 일자 + 14개월 이전부터 1년 데이터 확인 가능합니다.
5. 진료 내역 확인
진료 형태, 병원 이름, 본인부담금, 공단부담금 확인 가능하며, 앞전에 설명 드렸듯 비뇨기과, 정신과, 산부인과 등 민감 정보는 확인 안됩니다.
민감 정보은 의료 기관 및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내역 조회 방문 확인만 가능합니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