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 이전엔 부팅 중 F8을 눌으면 쉽게 안전모드 진입이 가능했었죠. 그런데 윈도우10로 올라오면서부터 문제가 없는 상황에선 진입이 쉽지만, 이미 컴퓨터가 먹통된 상태로는 진입이 어렵단 단점이 있습니다. (아마 윈도우11도 동일하게 동작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전에 사용했던 강제 안전모드 진입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도움되셨다면 포스팅을 많이 공유 부탁드립니다^^
일단 컴퓨터를 강제로 끕니다. 그리고 재부팅 시킵니다.
멀쩡하게 윈도우 화면까지 나왔다면 다시 도중에 컴퓨터를 꺼버리길 여러번 반복합니다.
이렇게 컴퓨터가 윈도우 실행 중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다라는 착각하도록 만들어 안전모드를 강제로 활성활 시킬 수 있습니다.
기분 나쁘게 보이지만 복구라는 문구가 표시되면 1차로 성공한 것이고, 고급 복구?라는 메뉴를 선택해 옵션 선택 메뉴로 진입합니다. 문제 해결 → 고급 옵션 → 시작설정 → 다시시작 → 부팅되고 나온화면에서 F4눌러 안전모드 사용
이렇게 부팅되면 시작 설정 메뉴로 들어가신 후 앱 → 앱 및 기능에서 문제되는 앱(프로그램)을 삭제하시면 됩니다.
삭제가 완료되면 일반적인 방법으로 컴퓨터를 재부팅시키시면 됩니다.
※ 추천 콘텐츠
📌건강보험료 본인분담금 환급금 대상자 조회 (1인당 136만원 환급 방법)
📌청년월세 특별지원 신청 대상과 신청 방법 (월 20만원 x 12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