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포인트 현금으로 환급 방법(모바일 및 데스크톱)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모든 카드사에서 적립된 포인트를 간단한 본인 인증 절차를 통해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 특히 체크카드 사용자들은 포인트 적립 사실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아 적극적인 확인과 활용이 필요하다.




1. 카드포인트 소멸되는 이유는?

카드 포인트가 사라지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유효기간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카드 포인트는 적립 후 3년에서 5년 사이에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없어지게 됩니다. 이 기간이 지나도록 사용하지 못한 포인트는 결국 카드사가 가져가게 됩니다.

예전에는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아 쌓인 포인트를 쓰지 못하고 없애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포인트를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생기면서 이 문제는 많이 해결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서비스를 모르는 분들이 여전히 많아, 쌓인 포인트를 그냥 잃어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합니다.

그래서 내가 여러분께 포인트를 현금으로 환급받는 방법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소중히 모은 포인트를 놓치지 않도록 함께 확인해 보세요.

2. 카드포인트 현금으로 환급 방법(모바일)

1) 카드포인트 공식 홈페이지 접속

먼저, 카드 포인트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접속 후 화면에 보이는 세 가지 선택지 중에서 ‘통합 조회’, ‘계좌 입금’, ‘기부’ 중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면 됩니다.

2) 비회원 로그인 선택

정식 회원이신 경우에는 회원 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되지만, 자주 이용하지 않는 분이라면 비회원 로그인을 추천드립니다.

저도 일 년에 한두 번 정도만 사용하기 때문에 비회원 방식을 주로 이용합니다. 비회원 로그인 후, 휴대전화로 간단히 본인 확인을 하면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니 회원가입 없이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개인정보 동의 및 휴대폰 본인인증

화면 오른쪽 위에 보이는 ‘모두 동의하기’ 버튼을 눌러 개인정보 동의 절차를 완료합니다.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 과정이 시작됩니다.

인증 방법으로는 신용카드, 아이핀, 또는 휴대전화 인증이 있으며, 개인적으로는 휴대전화 인증이 가장 간편합니다. SKT, KT, LG유플러스의 PASS 앱 등을 이용해 빠르고 쉽게 인증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4) 위임장 동의

여러 카드사의 정보를 한 번에 조회하기 위해서는 위임장에 동의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이는 카드사 간 정보 제공을 허용하는 약관 동의로 보시면 됩니다. 간단히 동의만 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으니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5) 신용카드, 체크카드 포인트 통합 조회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포함한 모든 카드사의 포인트 중 현금으로 전환 가능한 포인트 총액이 표시됩니다. 이 화면에서 자신이 환급받을 수 있는 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확인 후, 화면 아래에 있는 ‘포인트 은행 계좌로 이체/기부하기’ 버튼을 눌러 환급 절차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참고로, 왼쪽의 ‘포인트 재확인’ 버튼은 누르지 않아도 바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6) 포인트 환급 신청

환급을 원하는 금액을 입력합니다. 만약 전체 금액을 환급받고 싶다면 ‘전액 입금’ 버튼을 누르면 모든 금액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이후, 아래에 있는 ‘포인트 은행 계좌 입금 신청’ 버튼을 눌러 절차를 마무리하면 됩니다. 참고로, 기부 메뉴가 바로 옆에 있으니 실수로 선택하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 카드포인트 현금 전환 방법(PC)

이 서비스의 가장 큰 장점은 여러 카드사의 포인트를 한 번에 확인하고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대상 카드사에는 롯데, 비씨, 삼성, 신한, 하나, 현대, 국민, 농협, 씨티, 우리, 우체국 등이 포함됩니다. 신용카드든 체크카드든 종류에 상관없이 포인트만 있다면 누구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카드포인트 현금 전환 방법 (계좌입금 환급 방법)

  1.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을 선택하고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합니다.
  3. 본인인증을 완료합니다. (카드, 아이핀, 휴대폰 번호 중 하나 이용)
  4. 위임약관에 동의한 후 카드포인트 계좌입금을 선택합니다.
  5. 포인트를 계좌로 입금받거나 기부하기 옵션을 선택합니다.
  6. 현금 전환할 포인트 금액을 선택한 후 계좌입금을 신청합니다.
  7. 약관에 동의하고 개인정보를 입력한 후 승인합니다. (계좌번호 및 입금은행 정보 입력)

1. 여신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접속

여신금융협회에서 운영하는 이 서비스는 여러 카드사의 포인트를 한 곳에서 확인하고, 이를 원하는 은행 계좌로 현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돕는 편리한 시스템입니다. 사이트에 접속하면 ‘통합조회’, ‘계좌입금’, ‘기부’ 등 여러 메뉴가 표시됩니다. 참고로, 기부 메뉴는 포인트를 통해 좋은 일에 동참할 기회도 제공합니다.

2. 로그인 선택 및 개인정보 동의 선택

회원인 경우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되고, 비회원이라면 비회원 조회를 선택하면 됩니다. 이후,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해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동의 절차만 거치면 바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3. 본인인증 실시 (+카드, 아이핀, 휴대폰 전화번호)

본인 확인은 신용카드, 아이핀, 또는 휴대전화 번호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간편한 방법은 휴대전화 번호 인증으로, 많은 분들이 이를 선호합니다. 간단한 인증 절차를 통해 빠르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4. 위임약관 동의 후 카드포인트 계좌입금 선택

각 카드사의 포인트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위임 약관에 동의해야 합니다. 동의 절차를 완료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확인 가능한 카드사에는 롯데, 비씨, 신한, 삼성, 하나, 현대, KB국민, NH농협, 씨티, 우리, 우체국 등이 포함되며, 신용카드와 체크카드 모두 조회 가능합니다. 필요한 정보를 한 번에 확인하고 손쉽게 계좌로 입금받을 수 있습니다.

5. 포인트 계좌입금/기부하기 선택

포인트 현황에서는 카드사별 카드 발급 상태와 전체 포인트 금액, 그리고 소멸 예정인 포인트 금액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정보를 확인한 후, 원하는 옵션인 계좌입금이나 기부를 선택하여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소멸 예정 포인트는 빠르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6. 포인트 현금 전환 금액 선택 후 계좌입금 신청

환급받을 금액을 입력한 후, ‘포인트 계좌입금 신청’ 버튼을 누르면 절차가 완료됩니다. 만약 전체 금액을 환급받고 싶다면 ‘전부입금’ 버튼을 선택하면 편리합니다. 이때, 옆에 있는 ‘기부 바로가기’ 버튼을 실수로 누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기부를 원하실 경우 해당 메뉴를 통해 진행하시면 됩니다.

입금은 카드사의 점검 시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바로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신한카드의 경우 다른 은행으로 이체할 때도 2분 이내로 입금이 완료될 정도로 빠릅니다.

7. 약관 동의 및 개인정보 입력 후 승인 (+계좌번호, 입금은행)

돈을 받을 은행과 계좌번호를 써넣고 확인받습니다. 확인이 되면 최종적으로 입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한, 우리, 카카오뱅크, KB국민, 하나, 기업, NH농협 등 거의 모든 은행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따로 없습니다.

4. 카드 포인트 환급 제도의 배경과 의미

카드 포인트 현금화 제도는 고객님들의 카드 사용으로 쌓인 포인트를 실제 돈으로 바꿀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이 제도가 생긴 이유는 많은 분들이 모은 포인트를 잊어버리고 그냥 없어지게 두는 경우가 많아서입니다. 그래서 이렇게 아깝게 사라지는 포인트를 막고, 여러분이 더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또한, 요즘에는 체크카드로도 포인트를 모을 수 있어서, 신용카드처럼 체크카드 포인트도 현금으로 바꿀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자동차보험 환급금 조회
자동차보험료 최저가 조회방법
세금 환급금 조회(국세)
자동차채권 환급금 조회
국민연금 예상 환급금 조회

5. 카드 포인트 환급 지원 카드사와 카드 종류

아래는 포인트를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주요 카드사와 그 회사에서 내놓은 대표적인 신용카드들입니다.

롯데카드(텐세이브, 포인트플러스), 비씨카드(바로카드, 글로벌카드), 삼성카드(iD ON 카드, THE 1 카드), 신한카드(Mr.Life 카드, Hi-Point 카드), 하나카드(1Q 카드, SK카드), 현대카드(Z 시리즈: Z Family, Z Work, Z Play, M 시리즈: M Edition2, M3), 국민카드(탄탄대로 올쇼핑, 청춘대로 톡톡카드), 농협카드(올바른 FLEX카드, 그린카드), 씨티카드(리워드 카드, 캐시백 카드), 우리카드(D-Day 카드, 카드의정석), 우체국카드(체크카드, 직불카드) 등이 있습니다.

다만, 여기 적힌 모든 카드가 다 되는 건 아니고, 포인트가 쌓이는 카드만 가능하다고 합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Leave a Comment